안녕하세요!
팀블로그의 늑대 입니다.
요즘 ㅇㄷㅇ님이나 저나 서로 바쁘다 보니 글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덜덜)
하지만 블로그 관리도 하고 방명록에 글 남겨 주시면 답글도 달아 드리고 있습니다^^;
새로운 글도 없는데 매일 찾아 와주시는 방문자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꾸벅)
이번에 발행하는 글은 가상머신에 대해서 알려 드릴까 합니다.
현재 잘 알려진 가상머신은 버추얼 박스와 VM웨어가 있습니다.
VM웨어는 버추얼 박스보다 좋고 기능도 다양하지만 유료이며 초보자 분들께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버추얼 박스는 무료이고 초보자 분들께서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가상머신이라면 버추얼 박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버추얼 박스는 기본적으로 한글 언어팩을 지원하고 있어서 사용하기 쉬운 반면,
VM웨어는 한글패치를 따로 해줘야 됩니다.
어쨌든; 이번에 소개할 프로그램은 버추얼 박스 입니다.
제1장 → Virtual Box를 다운로드 하여 가상머신 만들기 (THE 보기를 클릭 하세요!)
접기
펼쳐두기..
♣ Virtual Box를 다운로드 받아 가상머신을 설치하는 과정 입니다.Virtual Box를 다운로드 받고 설치 합니다.
Virtual Box 다운로드아래의 이미지 갤러리는 캡쳐 화면을 클릭 하시면 원본 크기로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캡쳐1
Virtual Box를 설치하고 실행하면 화면이 나타 납니다. (캡쳐1)
왼쪽 레이아웃이 가상머신 목록을 표시하고 오른쪽은 선택한 가상머신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가상머신을 설치하기 위해 왼쪽 상단에 있는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새 가상 머신 만들기라는
창이 나타 납니다.
(캡쳐2)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만들고자 하는 가상머신 이름과 운영체제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캡쳐3) 만들고자 하는 가상머신의 이름을 입력한 뒤에 설치할 운영체제 종류를 선택 합니다.
운영체제 종류는
Windows, Linux, Solaris, BSD, IBM OS/2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운영체제 종류가 없다면
Other를 선택하면 됩니다.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버전을 선택 하셔야 버추얼 박스가 해당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권장하는 시스템 사항을
알려주기 때문에 운영체제 종류와 버전을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가상머신 이름과 운영체제 종류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머신에 할당할 기본 메모리(RAM)의
크기를 메가 바이트 단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캡쳐4)현재 사용하고 있는 PC의 메모리가 클수록 가상머신의 기본 메모리도 많이 할당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이 한다면 호스트 PC에서도 과부하가 걸려 문제될 수 있으니 적정값을 입력 해주세요^^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을 경우, 권장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가상머신의 기본 메모리를 설정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 하드디스크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캡쳐5)
가상 하드디스크는 가상머신을 부팅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입니다.
가상 하드디스크를 만들기 위해 [
새 가상 디스크 만들기] 를 선택 후,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새 가상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한 후에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새 가상 디스크 만들기라는 창이 나타 납니다.
(캡쳐6)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하드 디스크 저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 납니다.
(캡쳐7)
하드디스크 종류에는 동적 확장 저장소, 고정 크기 저장소 등 2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동적 확장 저장소는 처음 만들었을 때는 아주 작은 공간만 차지하게 되지만 가상머신을 실행해서
프로그램을 설치 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되면 가상머신의 이미지 파일의 크기도 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고정 크기 저장소는 크기는 변하지 않는 대신에 하드디스크의 쓰기 성능과 저장소 크기에 따라서 생성 시간만
달라지게 됩니다.
(고정 크기 저장소는 한번도 사용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내용을 추가 할 것입니다)동적 확장 저장소와 고정 크기 저장소 중에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 임의이므로 여기서는 동적 확장 저장소를
선택한 후에 가상머신을 설치 해보겠습니다.
동적 확장 저장소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 디스크의 위치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캡쳐8)
하드 디스크 데이터를 저장할 경로를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지정한 후, 크기를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실제 사용하는 PC의 하드 디스크에 가상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경로를 선택하고
이름을 입력 합니다. 경로를 선택하지 않고 이름만 입력 한다면 Vitual Box의 기본 데이터 저장 경로로
데이터가 생성 됩니다. (
기본 하드 디스크 저장 경로는 C:\사용자 계정\.VirtualBox\HardDisks 입니다)
가상 하드 디스크 크기는 실제 PC의 하드 디스크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C드라이브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도 용량이 없다면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저장 경로를 잘 선택해야 합니다.
이렇게 가상 디스크의 위치와 크기 설정이 끝났다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지금까지 설정한 것을 요약해서 보여주게 됩니다.
(캡쳐9) 요약된 결과물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이전 버튼을 클릭하여 수정이 가능 합니다.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새 가상 머신의 요약 결과물을 보여주게 됩니다.
(캡쳐10)살펴보고 문제가 없다면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가상머신 만들기를 마치면 되고,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이전 버튼을 클릭하여 수정할 부분을 변경 하시면 됩니다.
접기
제2장 → Virtual Box에서 가상머신으로 Windows 설치하기
(THE 보기를 클릭 하세요!)접기
펼쳐두기..
♣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Windows XP를 설치하는 과정 입니다.아래의 이미지 갤러리는 캡쳐 화면을 클릭 하시면 원본 크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캡쳐11
제1장에서 가상머신 만들기에 성공을 하였다면 Virtual Box 메인화면의 왼쪽 목록에 winxp라는 이름의
가상머신이 하나 생성 됩니다.
(캡쳐11)생성된 가상머신을 선택하면 오른쪽에 가상머신의 자세한 정보가 나오게 되며, 가상머신을 더블클릭하면
실행이 됩니다, 가상머신을 더블클릭하면 실행되면서 처음 실행 마법사라는 창이 나타 납니다.
(캡쳐12)처음 실행 마법사는 가상머신에 구동할 운영체제가 없다면 나타나는 것이므로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위해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캡쳐13)여기에서 설치할 운영체제의 CD/DVD-ROM 장치 또는 가상 이미지 파일인 iso 파일을 찾아서 선택 합니다.
모두 설정 하였다면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요약된 결과물을 읽어보고 맞다 싶으면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Windows 설치를 시작 합니다.
(캡쳐14)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Windows xp 설치 화면
가상머신에서의 운영체제 설치는 PC에서 설치화면과 동일하기 때문에 크게 어려운 건 없습니다^^
운영체제 설치가 어렵다는 편견을 버리세요!!!
(TV보다 쉽습니다!.....아 이건 아닌가-_-ㅋ;) 접기
제3장 → 유료 프로그램 안부러운 Virtual Box의 부가기능
(THE 보기를 클릭 하세요!)접기
펼쳐두기..
♣ 호스트 PC 폴더공유, 가상머신에서 USB 인식 등의 부가기능과 기타 옵션 과정 입니다.마지막 제3장에서는 호스트 PC의 폴더를 가상머신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가상머신에서 USB 인식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의 부가기능과 기타 옵션을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부가기능을 사용 할려면 가상머신으로 부팅한 후에 메뉴에서
장치 - 게스트 확장 설치를 클릭하여
확장 설치를 해야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유폴더공유폴더 기능이란 호스트 PC에 있는 폴더를 가상머신에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게스트 확장 설치를 하고 공유폴더를 설정 할려면 Virtual Box 메인화면에서 가상머신을 선택하고 설정 버튼을
클릭한 후에 왼쪽 메뉴에서 공유폴더를 선택 합니다.
선택하게 되면 오른쪽에 머신 폴더와 일반 폴더가 있는데 머신 폴더를 선택한 후에 오른쪽 아이콘 중에서
맨 위 아이콘을 클릭하면 호스트 PC의 폴더 선택화면이 나오게 되고 가상머신과 공유할 폴더를 선택하면
위의 캡쳐화면과 같이 나오게 됩니다.
폴더 공유가 설정이 되었다면 가상머신으로 가서
내 네트워크 환경 - 전체 네트워크 - Virtual Box Shared Folders경로로 가면
\\Vboxsvr 이라는 이름의 컴퓨터가 있는데 그것이 호스트 PC 입니다.
그곳으로 들어 간다면 방금 설정한 공유 폴더가 보이게 되며 호스트 PC에서 공유 설정한 폴더를 가상머신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가상머신에서 USB 사용하기Virtual Box 메인화면에서 가상머신을 선택하고 설정 버튼을 클릭 합니다.
PC에 USB를 연결하고 설정 메뉴에서 USB를 클릭 합니다.
오른쪽 아이콘 중에서 두번째 아이콘을 클릭하여 PC에 연결된 USB를 장치 필터에 추가하고 확인을 클릭 합니다.
가상머신을 부팅한 후에 메뉴에서
장치 - USB 장치에서 장치 필터에 추가한 USB 목록을 선택 합니다.
가상머신의 내 컴퓨터로 들어가면 USB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도 가능 합니다^^
(3) 호스트 키 변경 & 이미지 파일 등록호스트키란? 가상머신에서 호스트 PC로 이동할 때 사용되는 키 입니다.
호스트 키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키로 설정해야 됩니다.
windows키나 F1키를 호스트 키로 설정 하였을 때, 가상머신에서 호스트 키를 누르게 된다면
정상적으로 작동이 안되고 시작메뉴가 열리거나 도움말이 실행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호스트 키 설정은 Virtual Box 메인화면에서
파일 - 환경 설정 - 입력 순으로 들어가서 설정된 호스트 키를
클릭하고 변경할 호스트 키를 한번 입력한 다음에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저장소란? 저장소란 가상머신 데이터 파일과 가상머신 구동 OS를 관리하는 메뉴 입니다.
CD/DVD Device를 이용하거나 ISO 파일을 등록하여 가상머신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ISO 파일의 경우에 등록한 후에는 이동/삭제가 불가능 합니다. 이 경우에는 CD/DVD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ISO 파일을 해제하여 주시던가 옆에 있는 폴더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Virtual Box에서 파일의 등록해제를 하고
목록에서 삭제를 해야 됩니다.
기본적으로 IDE 콘트롤러 아래에 플로피 콘트롤러도 있는데 플로피 드라이버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삭제 해두셔도 시스템에는 아무 이상이 없음을 밝혀 드립니다.
접기
여기까지 Virtual Box를 설치하는 과정부터 Windows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법까지 작성 해봤습니다.
제 나름대로 쉽게 작성 하였는데 초보분들이나 Virtual Box를 처음 알게되신 분들에게는 어떻게 보이실지 모르겠네요^^:
본 포스트를 보면서 Virtual Box를 사용 하시다가 궁금하거나 질문이 있으신 경우에는 덧글 또는 방명록에 남겨 주시면
최대한 성심 성의껏 답변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남기실 때, 메일 주소를 비밀글로 남겨 주시면 메일로 답변 해드리오니 참고 하세요~ (꾸벅)
댓글 없음:
댓글 쓰기